지난 칼럼 70편부터 이어져온 독일온열종양학회가 발간한 고주파 온열치료 가이드라인의 여섯 번째로, 정전용량 국소 심부 고주파 온열치료의 임상 계획과 적용에 관한 치료 권장 사항 및 지침을 다루겠다.
6. 국소 온열요법의 계획 및 임상 적용
이 챕터에서는 정전용량 방식 국소 심부 온열요법의 치료 계획과 임상 적용에 대해 다룬다. 치료 권장 사항 및 지침을 포함한다. 치료 개념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온열요법을 적용할 시기를 결정할 때는 환자에게 병행 치료(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요법)를 시행하는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 국소 용량성 온열 요법을 시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으며, 지침에 따라 장비 운영과 취급에 있어 개별적으로 중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6.1 현재 진단에 관한 의학적 면담
6.2 추가 치료 옵션에 대한 정보
6.3 온열요법 및 부작용에 대한 정보
6.4 계획 및 비용에 대한 정보
6.5 서면 동의서 취득
6.6 환자 준비
6.7 기기, 전극/어플리케이터 및 위치 선택
6.8 환자 치료 포지셔닝(치료 자세)
6.9 치료 계획(성능 프로필)
6.10 냉각 회로 유무
6.11 감독 및 문서화
6.1 현재 진단에 관한 의학적 면담
환자에게 현재 진단 결과에 대해 감정적 공감과 함께 알려주되, 이를 간과하거나 더 나쁜 시나리오를 설정하지 않아야 한다. 환자의 희망과 필요를 고려하여 가능한 의학적 대안도 설명해야 한다. 또한, 환자가 이를 고려할 수 있는 시간(최소 24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6.2 추가 치료 옵션에 대한 정보
환자는 현재 진단, 예정하고 있거나 권장되는 기존 치료법을 항상 알려야 한다. 뿐만 아니라 다른 지시나 계획된 치료법(수술적 조치, 추가 화학요법, 면역요법 또는 방사선요법 또는 이들의 병용)에 대해서도 항상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해당 사례는 종양 위원회의 검토를 받아야 한다.
6.3 온열요법 및 부작용에 대한 정보
지난 칼럼 75편에 5.6 용량성(정전용량방식)온열요법의 부작용의 하위 내용 참조하길 바란다.
5.6.1 중대한 부작용
5.6.2 장기 또는 표적 부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특별한 부작용
5.6.3 추가 잠재적 부작용
6.4 계획 및 비용에 대한 정보
6.4.1 계획
전반적인 치료 범위 내에서 환자는 기존 치료법과 보완 치료법 간의 충돌에 휘말려서는 안 된다. (온열)치료 계획과 과정은 치료 병용이 발생할 경우 기존 치료의 스케줄을 중심으로 조정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 사이의 온열치료 간격은 전체 치료 계획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가능한 한 환자의 요구 사항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한다.
6.4.2 비용 (이 항목은 독일의 상황으로, 국내 실정과 다를 수 있다. 독일의 실정을 참고해 주길 바란다.)
온열요법 비용은 일반적으로 (법정) 보험이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환자가 직접 지불해야 하는 추가 비용에 대한 정보는 더욱 중요하다. 환자에게는 개별 온열치료 비용뿐만 아니라 예측 가능한 범위의 추가적인 온열치료의 비용에 대해서도 포괄적으로 알려야 한다. 필요한 경우, 추가 상담, 보충 검사 또는 보완 종양학 요법(겨우살이 요법, 면역 요법, 비타민 등)과 같은 범위 내의 추가 서비스에 대한 비용에 대해서도 알려야 한다. 또한 환자에게 완화 치료 상황에서 온열요법은 (치료 휴지기를 포함하여) 계속되어야 한다는 사실도 알려야 한다. 예컨대, 적응증이 남아 지속적인 화학요법 필요한 경우처럼, 온열요법 역시 (이에 수반되는 모든 비용을 포함하여 평생 동안) 계속되어야 함을 설명해야 한다. 법적 권한의 필수 포함 가능성과 법정 건강보험 회사에 의한 비용 환급에 대한 전제 조건을 포함하여, 이러한 모든 사항은 진료 상담 시에도 논의되어야 한다.
비용 청구는 "Gebührenordnung für Ärzte" - GOÄ (독일 의료 수가표)에 현재 적용되는 코드를 기반으로 한다. 이 코드는 Hufelandgesellschaft e.V.(후펠란트 협회; 독일 통합의학 연합기관)와 독일 온열종양학회(DGHT e.V.)의 권고에 따라 법적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이 코드는 이전에 Verband der Privaten Krankenversicherung e.V.(민간보험협회)에서도 인정한 바 있다.
6.5 서면 동의서 취득
모든 치료나 시술과 마찬가지로, 정보 제공 후에는 환자가 선택 사항을 고려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을 두고 서면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 서면 동의서는 문서로 보관해야 하며, 원본은 의사/의료기관이 보관하고 환자에게는 사본을 제공해야 한다. 의료계의 관례에 따라 환자에게는 언제든지 이유를 밝히지 않고 치료를 중단하거나 조기 종료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 이 과정 또한 문서화해야 한다.
6.6 환자 준비
환자는 치료받을 부위의 맨 살이 드러나도록 한다. 필요 시, 상의 혹은 하의를 탈의해야 한다. 모든 금속성 물체는 치료 대상 부위에서 제거해야 한다.
6.7 기기, 전극/어플리케이터 및 위치 선택
기기의 전극(어플리케이터)은 치료 부위의 크기, 강도 그리고 장비 제조업체의 전극 제조 기술 요건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임상적 요건에 부합해야 한다.
각 장비의 표준 적용 방식을 예를 들자면, Celsius42사의 TCS 장비 또는 Synchrotherm RF 800은 상부 250mm 전극과 하부 250mm 전극을 사용한다. 하이딥600WM은 상부 270mm 전극과 하부 270mm 전극을 사용한다. Oncotherm사의 EHY-2000 장비는 일반적으로 몸통 부위에는 직경 300mm 전극을, 머리와 목 부위에는 직경 200mm 전극을 사용한다. 같은 회사의 EHY-3010 장비는 섬유 전극의 크기가 흉부, 복부/골반 또는 두 부위 모두를 치료할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이 장비로 확산성 골 전이를 치료할 경우, 환자를 측정한 범위에 따라 개별적인 특수 목적 전극을 제작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하이딥600WM 또는 Celsius TCS 장비에서 (위 또는 아래)한쪽 전극을 표준 전극보다 작은 170mm 또는 150mm 전극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치료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거나 표면에서 전극에 가까운 경우 (하이딥600WM은 170mm, 셀시우스TCS는 150mm 전극 사용) ([그림 1 참조]).
b. 목 부위와 같이 확연히 구분되는 신체 부위가 더 작은 경우.
[그림 1] Celsius42 TCS에서 전극 위치의 예시 표현
[그림 2] 폐 전체 또는 간 전체를 1시간 동안 치료할 수 있는 섬유 전극이 장착된 Oncotherm EHY-3010
[그림 3] 인체공학적 실리콘 특수설계로 유연하게 굽어지는 전극을 탑재한 하이딥600WM
온코썸사 장비(EHY-2000 및 EHY-3010)는 상대 전극이 매트리스 크기의 금속판 또는 금속 시트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의 위치를 전극 크기에 따라 조정할 필요가 없다. EHY-2000의 치료용 전극 중 가장 큰 것(직경 약 300mm)은 종격동, 폐 한쪽, 간의 넓은 부위 또는 복부/골반의 넓은 부위를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중간 전극(직경 약 200mm)은 머리와 목 부위에 사용한다. 매우 드물게 사용하는 직경 80mm 전극은 더 작은 병변에 적용할 수 있다. EHY-3010 장비의 섬유 전극은 전체 장기(폐, 간), 전체 축 골격 및 골반 골격, 대퇴골의 크기에 맞게 개별적으로 조정하거나 맞춤 설정할 수 있다.
하이딥600WM 장비의 안테나(전극) 선택은 온열치료 유형(표재성 또는 심부), 치료 위치 및 종양 크기에 따라 다르게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방식 장비는 무선 주파수가 깊이 침투하므로 주로 심부 온열치료에 사용한다. 그러나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면 더 작은 직경의 안테나를 치료 병변 바로 위에 위치시켜 표면 쪽으로 열 축적을 증가시키므로 표재성 종양도 치료할 수 있다. 심부 온열치료의 경우, 가온하려는 부위 용적에 따라 큰(270mm) 또는 작은(170mm) 직경의 안테나를 선택한다. 안테나는 항상 한 쌍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시켜야 한다. 심부 온열치료의 경우에는 동일한 직경의 안테나를 선택한다. 의료진은 위치를 정하는 데 있어 다음 4가지 사항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 두 개의 안테나는 서로 평행을 이루어야 한다. 표면에 열이 모이는 지점이 없도록 해야 하며, 일정한 무선 주파수의 경로와 균일한 가온을 유지해야 한다.
b. 제공한 밴드로 안테나를 가온할 영역에 배치 및 유지해야 한다. 이때 안테나가 변형되지 않도록 너무 팽팽하지 않게 고정해야 한다. 이는 전자기파 전송의 불균일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c. 안테나 배치 시, 매개물을 사용한다. 특히, 위생상의 이유로 가온 표면이 피부와 직접 접촉할 때 땀이 생기지 않도록 거즈나 흰 천을 대고 환자 위에 위치시켜야 한다.
d. 핫스팟 지점을 없애기 위한 예방 조치로, 치료하는 동안 안테나의 위치를 1-2 회 정도 몇 초만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항상 같은 장소에서 방사선 에너지가 축적되는 것을 막고 무선 주파수의 우선 경로가 수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칼럼 7부에서는 정전용량 국소 온열치료 시 6.8 환자 치료 포지셔닝(치료 자세), 6.9 치료 계획(성능 프로필), 6.10 냉각 회로 유무, 6.11 감독 및 문서화 지침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