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상만 온열치료 칼럼니스트

지난 칼럼 70편부터 이어져온 독일온열종양학회가 발간한 고주파 온열치료 가이드라인에서 일곱 번째로 전할 내용은 정전용량 국소 심부 고주파 온열치료 시 환자 치료 포지셔닝(치료 자세)와 치료 계획에 대해 다룰 예정이었으나, 치료 자세의 중요성과 각 장비의 치료 계획의 특징을 전달하기 위해 각 내용을 분리하여 치료 계획은 다음 8부에서 전할 예정이다.

6.8 환자 치료 포지셔닝(치료 자세)

장비 제조사와 관계없이, 환자의 치료 부위와 전극의 영역이 가능한 한 잘 결합되어 정전용량 필드가 활성화될 때 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다. 전극과 환자 피부 사이에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며, 가능한 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에너지가 곧장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전용량 방식 장비(Celsius TCS, Synchrotherm, RF 800, EHY-2000, 하이딥600WM 등)의 상부 전극 또는 하부 전극 바로 아래에는 물 주머니(Water boluses)를 설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냉각을 목적으로 한 간격 유지용이다. 물 주머니와 환자의 신체 사이에서 에너지 필드는 잘 결합되면서도, 냉각용 물은 펌프 유량이 높기 때문에 정전용량 필드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다. 냉각 공간과 환자의 신체 사이에는 다른 어떠한 물체도 두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다. 특히 공기가 포함된 단열성 쿠션이나 담요는 피해야 한다. 물 주머니가 몸에 평평하게 닿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물 주머니의 한 부분은 몸에 닿아 있으나 다른 부분은 공중에 떠 있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굴곡진 신체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섹션 6.8.1.1 참조).

물 주머니(water boluses)를 채울 때 공기가 갇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갈비뼈 앞쪽과 같이 돌출된 신체 부위에 전극 표면이 직접 닿아 화상 위험이 생기지 않도록 냉각수를 충분히 채워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물 주머니를 과도하게 채우면 전극 표면이 지나치게 볼록해져 접촉 면적이 좁아진다. 이는 치료 부위의 일부분이 범위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면적이 축소된 부위에는 에너지가 과도하게 집중되어 화상을 초래할 수 있다.

EHY-3010의 직물(섬유) 전극에도 동일한 원칙이 적용된다. 직물 전극이 피부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평평하고 큰 물 주머니를 치료 부위 위에 놓아야 한다. 환자의 옆구리를 따라 상대 전극(물침대 영역)에 직물 전극이나 물 주머니가 흘러내려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에너지가 환자의 치료 부위를 지나쳐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 치료 효과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생을 목적으로 피부와 어플리케이터(전극) 사이에 얇은 종이층을 사용하는 것은 전극 결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흉부 치료 시 순면 재질의 얇은 종이(셔츠 재질 등)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미량이라도 합성섬유가 섞인 티셔츠나 내의를 사용하면 장치의 세밀한 튜닝을 심각하게 방해하여 장비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하이딥600WM의 경우, 치료가 약 1시간가량 유지되는 동안 환자의 위치는 최대한 편안해야 한다. 머리를 약간 올리고 몸을 따라 팔을 뻗은 바로 누운(앙와위/배와위) 자세가 바람직하다. 이 자세는 치료 중 환자 위치를 재조정하기 쉽고, 운영자가 치료에 필요한 거의 모든 해부학적 부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이 자세가 가온할 종양 기관 레벨에서 환자의 위와 아래에 안테나를 위치시키고 결합하는 것이 더 쉽다.

다만, 환자의 특정 해부학적 문제, 자세로 인한 통증, 또는 전체 치료 기간 동안 동일한 자세 유지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른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자는 한쪽(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사지를 약간 모으고 누운 자세를 사용할 수 있다. 테이블에서 반좌석 자세를 취하는 것은 거의 필요하지 않다. 등받이를 들어 올리거나 의자에 앉을 수 있는데, 이때 침대나 의자는 목재 재질의 제품이거나 (목재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 매트리스 헤드 부분을 바닥에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프레임을 조정해야 한다. 모션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치료 위치를 변경할 때, 프레임 각도 조정으로 인해 설정된 안테나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떠한 치료 자세를 선택하든 가온할 치료 부위(장기)는 항상 두 개의 안테나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해야 하며,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한 지지대를 사용하여 고정해야 한다. 양쪽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탄성 밴드는 지나치게 팽팽하지 않도록 하고 안테나의 가장자리가 변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위생상의 이유로 환자는 치료 부위를 덮는 순면 흰색 셔츠를 착용하거나, 셔츠 착용 대신 안테나를 덮는 멸균 거즈를 사용해야 한다. 피부 온도를 감시할 수 있는 온도계의 위치는 치료 시작 전, 조사할 부위의 중앙에 위치시켜야 한다. 세션이 끝나면 안테나와 접촉했던 환자의 피부 온도가 특히 높을 수 있으므로, 이 점을 유념하여 측정해야 한다. 치료 후 발생하는 적당한 홍반은 허용 범위 내의 부작용으로 간주한다.

엔지니어는 장비 설치 시 혹은 운영자의 특별 요청이 있을 때 환자의 온도 측정을 기록할 수 있다. 이 기록은 치료 종료 시점 또는 치료가 절반 정도 진행되었을 때 온도를 기록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6.8.1. 특수 포지셔닝(치료 자세)

요건특수한 포지셔닝(치료자세) 요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기기별 위치 보조기구에 관한 치료 프로토콜 참조.

● 6.8.1.1.

매우 굴곡진 신체 표면굴곡진 신체 부위를 치료할 때에는 별도의 물 쿠션(water cushions or water pack)을 추가하여 해당 부위의 굴곡을 채워 사용해야 한다.

굴곡진 신체 부위의 예시:
· 볼록한 복부나 둥근 허벅지 표면
· 악액질 등으로 인한 체중 저하로 움푹 파인 흉부와 같은 오목한 신체 부위

● 6.8.1.2. 두경부 (머리와 목)

일반적으로 두경부 종양은 어깨와 머리 사이 연결 지점, 즉 측면 자세로 치료해야 한다. 이 부위 치료 시에는 물 주머니(water boluses)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마찬가지로 상부 전극은 물 주머니가 결합된 전극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물 팩(water pack)을 전극에 연결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치료를 위해 물 팩 사용이 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터지지 않을 정도로 물을 채운 작은 물 팩을 사용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 물 팩을 사전에 약간 냉각해 두거나, 필요할 경우 치료 중 여러 번 교체해야 한다.

[그림 1] 치료 포지셔닝 보조 도구의 예

직물 전극(섬유 전극)은 두경부 치료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젖은 머리카락이 고주파 전파의 안테나와 같은 역할을 하여 통증이나 화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자의 피부에 땀이 전극과의 접촉면에 닿으면 통증을 유발하는 "끓는 액체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치료 중 땀이 발생할 경우 여러차례 닦아줘야 한다.

간혹, 매치박스(matchbox)가 제대로 튜닝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출력이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Celsius42사의 TCS 장비 화면에서는 노란색 곡선이 파란색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온코썸사의 EHY-2000 및 EHY-3010 장비 화면에서는 “검정색 동기선”이 더 이상 보이지 않거나 판독 가능한 반사값(>5~10W)이 지나치게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장비와는 관계없이, 다음 조치 중 하나 이상이 성공적인 튜닝에 도움이 된다.

1. 전극 사이에 있는 합성 섬유가 포함된 직물이나 의류 제거
2. 출력을 ±5 W 범위로 조정
3. 상부 전극을 약간 더 세게 밀착시킴(접촉 압력을 조심스럽게 높임)
4. 환자의 치료 자세를 변경 (필요 시 약간 뒤로 또는 앞으로 밀어 조정)
5. 전극의 위치를 점검하고 필요시 재교정
6. 전극 간 거리를 변경 (물팩 사용)

다음 칼럼 8부에서는 정전용량 방식 국소 온열치료의 계획 그리고 장비별 치료 프로토콜, 냉각회로에 대한 내용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