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

건국대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팀이 눈썹주름근의 해부학적 위치를 정밀 분석해, 동아시아인에 최적화된 보톡스 주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연구로 국제학술지 ‘Toxins’에 논문을 게재했다. 이 연구는 보툴리눔 톡신 주사의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2025년 국제학술지 ‘Toxins’에 ‘Topography of the Corrugator Supercilii Muscle Relative to the Eyebrow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in Botulinum Toxin Injections(눈썹주름근과 눈썹의 해부학적 위치 관계 및 보툴리눔 톡신 주사의 임상 적용)’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신현진 교수와 최유진, 신강재, 송우철 교수팀이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눈썹 기준 주사법, 동양인에는 정확도 떨어져

연구 결과, 미간 주름을 만드는 주요 근육인 눈썹주름근(corrugator supercilii muscle, CSM)은 동아시아인에서 눈썹 아래쪽에 더 많이 분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눈 안쪽(코 방향)에서는 근육과 눈썹이 거의 겹치며, 동공 중심선을 지나면서 근육의 밀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특징을 보였다.

기존 의학서 대부분은 서양인의 안면 구조를 기준으로 보톡스 주사 위치를 제시해왔으며, 이로 인해 동양인에게 그대로 적용할 경우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눈썹 위치 기준의 해부학 연구로 새로운 주사 지침 제시

신현진 교수는 “실제 임상에서 눈썹주름근을 대상으로 할 때 눈썹을 기준으로 보톡스를 주사한다”며 “서양인은 눈썹 위치가 동양인에 비해 낮기 때문에 외국 의학서에서는 주사 부위가 눈썹 위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동양인은 눈썹 위치가 높아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33쪽의 한국인 기증 시신을 해부해 눈썹주름근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고, 해부사진을 중첩(superimposition)하는 방식으로 주사 지점을 시각화했다. 그 결과, 보툴리눔 톡신 주사는 눈 안쪽에서는 눈썹 중심에, 동공 중심선에서는 눈썹 바로 위에 놓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간 주름 개선뿐 아니라 눈 주변 근육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눈이 저절로 감기는 질환인 안검연축(눈꺼풀연축), 만성 편두통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실제로 보톡스 주사는 안검연축의 대표적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환자 만족도와 안전성 동시에 높일 것”

신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인의 얼굴 구조에 맞는 정밀한 해부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보톡스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라며 “특히 젊은 의사들이 시술 시 참고할 수 있는 실용적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눈썹이 없는 환자(예: 화상, 외상 등)에게도 눈 안쪽 거리와 눈사이 간격(intercanthal distance)을 기준으로 보톡스 주사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연구재단 지원…국내 유일 성형안과 해부학 연구자

신 교수는 성형안과 의사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임상해부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 한국인 대상 해부 데이터를 구축해 오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과학 연구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신 교수는 우수신진연구자로도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인의 해부학적 특성을 반영한 실용적 임상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미용 및 치료 목적의 보툴리눔 톡신 시술의 정확도와 안전성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